수집/심리학

클루지 정리

이것이 무엇인가 2023. 5. 24. 08:24
728x90
반응형

https://millie.page.link/uAmV5

 

클루지

★10억 연봉 유튜버 ‘자수성가 청년’의 인생을 바꾼 책★ “더 나은 의사결정을 원한다면 반드시 이 책을 읽어라!” 생각의 역사를 뒤집는 기막..

www.millie.co.kr

 
<책의 목적>

  • 우리의 기억이 왜 그렇게 자주 기대를 저버리는지, 우리는 왜 그렇게 자주 거짓된 것을 믿고, 참된 것을 믿지 않는지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 마음은 주먹구구 식으로 진화하였다. 
  • 클루지란 어떤 문제에 대한 서툴거나 세련되지 않은(그러나 놀라울 만큼 효과적인) 해결책

<키워드>

  • 확증 편향, 정신적 오염, 닻 내림, 틀 짜기, 부적절한 자기통제, 반추의 순환, 초점 맞추기 착각, 동기에 의한 추론, 잘못된 기억, 제한된 정신능력, 애매한 언어 체계, 정신장애 

<문장>

  • 인간의 마음은 많은 결함을 가지고 있다. 게다가 우리는 그러한 사실을 깨닫지도 못하고 결함을 받아들임으로써 표준적인 능력으로 받아들인다.
  • 우리의 마음이 클루지라는 것을 깨닫고 개선하기 위해서는 상자 밖에서 생각할 필요가 있다.
  • 우리는 정신을 딴 데 두거나 일을 뒤로 미루거나 우리 자신을 속인다. 인간으로 산다는 것은 자기 통제의 산에 오르기 위한 평생의 투쟁이다. 왜냐하면 진화는 우리에게 분별 있는 목표들을 세우기에 충분한 지적 능력을 주었으나, 그것들을 관철하기에 충분한 의지력은 주지 않았기 때문이다.
  • 클루지를 이겨내는 13가지 제안 

  • 우리의 사고력을 개선시킬 수 있는 가장 간단한 방법 중 하나는 대안이 되는 가설들을 함께 고려하는 훈련을 하는 것이다. 단순히 대안들의 목록을 작성해보는 것만으로도 추론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우리가 집착하는 것과는 다른 생각이나 가능성에 대해 성찰할수록 우리의 사고능력은 개선될 것이다. 올바른 선택은 종종 최종 선택한 길뿐만 아니라, 가지 않은 길에 대한 이해도 필요로 한다. 문제의 틀을 다시 짜고 질문을 재구성하라. 
  • 상관관계가 곧 인과관계가 아님을 명심하라. 우리는 자라면서 배운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자라는 것이 (그 자체로) 우리가 배우는 것의 원인은 아니다. 
  • 여러분이 가진 표본의 크기를 결코 잊지 말라. 똑같은 유형의 사건이 되풀이해서 일어난다면 그것은 우연이 아닐 가능성이 크다. 수학적으로 말하자면, 표본이 클수록 추정치는 신뢰할 만하다.
  • 자신의 충동을 미리 예상하고 앞서 결정하라. 위가 만족스러울 때 앞으로 일주일 뒤에 먹을 식품을 고르는 것과 배고플 때 가게에서 사먹는 인스턴트식품을 비교해보라. 만약 우리가 미리 결정한 것들만 구매하기로 결심한다면, 우리는 좀 더 건강한 식품들을 들고 집으로 돌아올 수 있을 것이다.
  • 막연히 목표만 정하지 말고 조건 계획을 세워라. 목표를 구체적인 ‘조건 계획’의 형태로 바꿀 경우에, 이를테면 “감자튀김을 보면 그것을 멀리하겠다.”와 같이 “X이면 Y이다.”의 형태로 바꿀 경우에, 성공할 확률이 크게 높아진다고 한다.
  • 피로하거나 마음이 산란할 때는 되도록 중요한 결정을 내리지 말라.
  • 언제나 이익과 비용을 비교 평가하라. 기회비용 이라고 부르는 것에 특별히 주의할 필요가 있다. 재정적으로든 다른 방식으로든 투자 결정을 내릴 때는, 여러분이 이것 아니면 무엇을 했을지에 대해 곰곰이 생각하라. 하나를 하면 다른 것을 할 수 없다는 점을 잊지 말라. 
  • 누군가가 여러분의 결정을 지켜보고 있다고 상상하라. 자신의 대답을 정당화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덜 편향된 결정을 내린다. 자신의 결정을 다른 사람들에게 해명할 필요를 느끼는 사람들은 더 많은 인지적 노력을 기울이며, 따라서 관련 정보들을 더 자세히 분석하고, 더 세련된 결정을 내리는 경향이 있다.
  • 자신에게 거리를 두어라. 여러분이 어떤 것을 내일도 원한다면 그것은 중요한 것일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만약 그 욕구가 사라져 버린다면 그것은 중요한 것이 아닐 것이다. 경험적 연구들에 따르면 비합리성은 종종 시간과 함께 사라지는 반면에, 복잡한 결정은 시간을 두고 그것에 몰두할 때 가장 훌륭하게 이루어진다. 
  • 생생한 것, 개인적인 것, 일화적인 것을 경계하라. 비개인적이지만 과학적인 것에 특별한 비중을 두는 것은 생생한 것에 현혹되기 쉬운 우리의 성향을 보완해줄 것이다.
  • 우물을 파되 한 우물을 파라. 결정은 심리적으로뿐만 아니라 신체적으로도 많은 비용을 요구한다. 가장 신중한 결정은 가장 중요한 선택을 위해 아껴 두어라. 
  • 합리적으로 되려고 노력하라. 합리적으로 되자고 스스로 되뇌는 것이 유익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이유 중 하나는 그렇게 하면 앞서 서술한 다른 기법들을 사용하도록 여러분 자신을 자동적으로 예비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내 생각>

우리는 우리에 대해서 너무 모른다. 메타인지를 통하여 자기 자신에 대하여 항상 밖에서 관찰해야 된다.

진화적인 관점에서 주요하게 여겨지는 특성들은 우리가 이 세상과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관찰하고 무엇을 선택하거나 결정을 할때 그 결정들이 이 세상과 연관되어 있고 그것들에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잊지 말고 항상 합리적인 결정을 하고자노력 해야 한다.  그렇게 계속 밖에서 나를 살펴보고 객관적 합리적인 사고를 하려고 노력하다보면 우리와 세상을 이해하고 좀더 합리적인 삶을 살아가면서 세상을 이해하고 도와줄수 있지 않을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