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리/마음공부

마음을 바꾸는 세가지 확실한 방법

이것이 무엇인가 2024. 11. 29. 20:22
728x90
반응형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4e203cfecc75409f

 

조너선 하이트의 바른 행복

논어 도덕경 명상록 성경 석가모니 세네카 니체 플라톤 동서양의 오래된 지혜와 현인들이 발견한 행복에 대한 모든 것 무엇을 해야 할까 어떻게 살아야 할까 어떤 사람이 되어야 할까 코로나바

www.millie.co.kr

 

  1. 명상 어느 날 여러분이 하루 한 번만 복용하면 불안감은 줄고 만족감은 늘어나는 알약에 관한 이야기를 읽었다고 해 보자. 여러분이라면 그 약을 먹겠는가? 게다가 그 알약은 엄청나게 다양한 부수적 효과도 가져다주는데, 하나같이 좋은 것들뿐이다. 자긍심, 공감 능력, 신뢰 향상은 물론, 심지어 기억력까지 향상시킨다. 마지막으로, 이 약은 완전히 자연적일 뿐 아니라 돈 한 푼 들지 않는다. 이제 그 약을 한번 먹어보겠는가? 그런 약이 실제로 있다. 바로 명상이다. <조너선 하이트의 바른 행복>, 조너선 하이트 - 밀리의 서재
  2. 인지치료 시간이 흐른 지금 스스로가 변화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은 억압된 기억을 헤집고 들어가, 거기 해당하는 진단을 내린 뒤, 마음에 쌓인 응어리를 푸는 것뿐이다. 벡이 발견한 것은 사고 변화를 통해 이 순환을 깨뜨릴 수 있다는 사실이었다. 인지 치료에서는 내담자에게 자기 생각을 포착해, 글로 적고, 그것이 어떤 왜곡인지 명시하게 한 뒤, 대안적이고 더 정확한 사고방식을 찾게 하는 게 관건이다. 몇 주가 흐르면, 내담자의 사고가 현실을 더욱 직시하면서 되먹임 고리가 깨지고, 그러면 내담자의 불안과 우울도 옅어진다. 인지 치료가 효과적인 이유는, 논쟁에서 다짜고짜 코끼리를 꺾기보다 코끼리를 훈련할 방법을 기수에게 가르치기 때문이다. 치료 첫날에는 기수조차 코끼리가 자신을 통제하고 있다는 사실, 즉 코끼리의 두려움이 자신의 의식적 사고를 몰아가고 있다는 사실을 미처 알지 못한다. 그러다 차츰 시간이 흐르며 내담자가 각종 연장의 사용법을 익혀 나가게 된다. <조너선 하이트의 바른 행복>, 조너선 하이트 - 밀리의 서재
  3. 프로작 마르셀 프루스트Marcel Proust는 책에 “먼 길을 떠나는 진정으로 참된 여행은 단 하나 ··· 낯선 땅을 밟는 것이 아닌, 다른 사람의 눈을 가져 보는 것이리라”라고 썼다. 1996년 여름, 나도 세상을 바라보는 새로운 눈을 가져 보고자 했으니, 프로작의 사촌 격인 팍실을 8주간 복용해 본 것이다. 꼭 마법 같았다. 몇 년 동안이나 나 혼자 힘으로 이루고 싶어 했던 일련의 변화들(긴장의 끈을 풀고, 마음을 가볍게 먹고, 내가 저지른 실수를 굳이 되새기지 말고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 하룻밤 새에 다 이루어진 것이다. 하지만 내게는 엄청난 손실일 수밖에 없는 부작용을 팍실은 하나 갖고 있었다. 팍실을 복용하면 분명 잘 알고 있는 사실들이나 이름조차도 머리에 영 떠오르지 않았다. 프로작은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 SSRI: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로 알려진 일군의 약물 가운데 제일 먼저 나온 제품이다. 이어지는 내용에서는 프로작을 이 계열의 약물 전체(심리적 면에서 거의 똑같은 효과를 보이며, 대표적으로 팍실Paxil, 졸로프트Zoloft, 셀렉사Celexa, 렉사프로Lexapro 등이 있다)를 지칭하는 말로 사용할 것이다 <조너선 하이트의 바른 행복>, 조너선 하이트 - 밀리의 서재
  4. 삶은 우리가 생각하기 나름이고, 우리 삶도 결국 우리 마음이 만들어 간다는 이야기 말이다. 하지만 이런 주장들이 현실에서 정말 쓸모를 가지려면 분열된 자기 이론(기수와 코끼리 같은)과 함께, 부정성 편향, 정서 유형에 대한 이해가 먼저 보강되어야만 한다. 변화가 왜 그렇게 어려운지 일단은 그 이유부터 알아야, 우격다짐의 방법 대신 심리적으로 더욱 정교한 접근법을 택해 자기 계발에 이용할 수 있다. 부처는 생전에 이 점을 정확히 간파했다. 코끼리를 길들이기 위해서는, 즉 우리 마음을 서서히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나름의 방도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말이다. 명상, 인지 치료, 프로작이 그것을 이룰 세 가지 효과적인 방법이다.  <조너선 하이트의 바른 행복>, 조너선 하이트 - 밀리의 서재

[내 생각]

명상 마음공부

마음을 왜 바꾸고 싶은가?

위 책 [바른 행복]은 행복을 추구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고전의 명언을 토대로 각 챕터마다 명언과 그에 대한 설명을 하고 있다. 위의 마음을 바꾸는 세가지 방법에 대한 명언은 


우주 전체가 변화요,삶을 무엇으로 여기느냐가 곧 우리의 삶이다. -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1
 
오늘의 우리는 어제의 생각들에서 비롯되고,우리의 현재 생각들이 내일의 삶을 지어 올린다.우리의 삶은 우리 마음이 만들어 낸 산물이다. - 부처2 <조너선 하이트의 바른 행복>, 조너선 하이트 - 밀리의 서재


이다.

 

마음공부 명상

 

오늘의 우리는 어제의 생각들에서 비롯되고, 우리의 현재 생각들은 내일의 삶을 지어 올린다.

우리의 삶은 우리 마음이 만들어 낸 산물이다.

 

우리의 삶은 우리의 마음이 만들어 낸 산물이다.

우리의 삶을 돌아보기 위해서는 우리의 마음을 돌아보아야 한다.

우리의 마음은 무엇일까? 나는 무엇일까? 세상은 무엇일까? 이것이 무엇인가?

 

마음을 들여다보고 마음공부를 하다보면 명상을 하다보면 마음이 바뀌는 날이 오지 않을까?

마음이 바뀌는게 중요한게 아니라 바꿀수 있도록 노력하는 행동에 의미가 있다.

 

부디 달을 가리키는 손가락을 보지 말고 연못 속의 달을 보지말고

달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생각하는 행동을 해야 한다.  

 

그 행동이 명상이 아닐까? 마음공부가 아닐까? 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