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집/불교

달라이 라마 입보리 행론 3

이것이 무엇인가 2022. 6. 5. 16:15
728x90
반응형

http://www.yes24.com/Product/Goods/70414008

 

달라이 라마의 입보리행론 강의 - YES24

선한 마음을 단련시키는 완벽한 실천 수행법 『입보리행론』,전 세계인이 감동한 달라이 라마의 『입보리행론』 핵심 강의“저에게 불교는 종교가 아니라 삶의 방식이며, 지혜와 내면의 평화

www.yes24.com

보리심 일으키기 위한 내용

< 보리심 공덕 찬탄품, 죄업 참회품, 보리심 전지품 >

보리심 없어지지 않도록 하여 항상 지니기 위한 내용

<보리심 불방일품, 정지품(호계품), 인욕품>

보리심 증진

<정진품, 선정품, 지혜품>

 

선한 마음인 보리심을 방편으로 바른 실상을 아는 지혜를 꾸준히 익혀 실제 그 경지에 이르렀을 때를 반야바라밀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자신을 위하는 마음을 완전히 버린 뛰어난 보리심을 이루려고 하는 것을 가리켜 지혜의 저 언덕으로 가자고 한 것입니다. 이것은 일체지를 이루는 씨앗과도 같습니다.

 

불교에서는 오온을 다스리는 또 다른 독립 적인 나는 없으며 이것을 아는 견해가 영원히 존재하는 나는 없다고 하는 것입니다. 이것을 아는 것이 지혜입니다. 영원히 내가 있다는 것과 나라는 것에 집착하는 마음을 유신견이라 하고 이런 뒤집힌 견해가 어떤것인가 관찰하고 이러한 것들에 대해 생각하고 또 생각해야 합니다. 나라고 집착하고 독립적인 나가 있다고 하는것이 그릇된 것임을 알면 아집과 유신견이 뒤집힌 것입을 알게 됩니다. 나라고 집착하는 마음에서 뒤집힌 견해가 생기는 것입니다.

 

좋은 논서는 네 가지 필요한 조건을 갖추어야 합니다. 논서의 주제, 목적, 필요성, 상관성 입니다. 다시 말해 논서의 주제를 알면 논서의 목적을 알고 목적에 의해 필요성의 핵심을 아는 상관성을 말하는 것입니다. 논의 목적은 논서의 주제에 의한 것으로 서로 필요에 의해 의지하는 것을 요동사법이라 합니다. 이렇게 논서를 배우는 것입니다. 논서를 배울때 먼저 그 논서를 관찰해야 합니다. 이유와 근거를 관찰할 때도 먼저 의심이 필요합니다. 실제를 알기 위해서는 반드시 좋고 싫은 자신의 감정에 치우치지 않는 정확한 마음에서 볼수 있어야 합니다. 곧은 마음으로 의심을 하는 관찰을 하면 논서에 어떤 주제가 있는지 그것의 필요성이 무엇인지 그 필요성의 핵심은 무엇인지 제대로 알수 있습니다.

 

우리 모두 법을 들을때 허공과 같이 헤아릴 수없는 중생이 나와 같이 행복을 원하고 고통을 원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아 모든 중생이 고통의 뿌리로부터 벗어나 영원히 행복한 모든것을 아는 지혜의 경지로 이끌겠다는 마음으로 들어야 하며 내가 깨달음을 얻기를 바라는 마음을 가져야 합니다.

 

우리가 입보리 행론을 짓고 듣는 목적은 세세생생 이 보살의 길을 가겠으며 이러한 방법으로 수행을 하겠다는 마음을 내는 것입니다. 수행은 항상 반복해서 익혀야 합니다. 익히고 습성을 들일 때 마음이 변합니다. 마음에 습성을 들이지 않고는 결코 변할 수 없습니다.

 

마음은 본래 공한 것이지 저절로 이루어진 것이 아닙니다. 어떤 물건이 그것을 이루고 있는 각각의 부분에 의해서 생겼다고 가정하면 그 각각을 떼어내어 버리면 그 물건을 찾아볼 수 없는 것처럼 의식의 흐름이 되는 그 각각의 것을 없애버리면 그 의식의 흐름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의식은 연기에 의지하여 이루어진 것입니다. 의식은 그 어떤 것에 의지하지 않고 저절로 일어난 것이 아닙니다. 그 자체는 실체가 없는 공입니다. 그런것을 공성이라 합니다. 

 

마음은 밝음 그 자체이고 공한 것입니다. 그래서 마음이 있다고 믿는 것은 뒤집힌 의식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허물을 정화할수 있는 것이며 그를 통해 일체지를 이룰 수 있는 것입니다. 

 

진정한 보리심이 일어나고 또 보리심에 대한 진정한 열망이 생기기만 해도 우리 삶에 변화가 오는 것은 말할 필요가 없습니다. 보리심에 대한 진정한 열망이 생기면 진정한 행목으로 나아갈 것입니다. 삶 또한 자신이 바라던 대로 의미 있는 삶이 될것입니다.

 

 

<내 생각>

항상 보리심을 생각하고 습관을 들여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항상 깨어있어야 한다.

항상 깨어있어라. 아무개야 너는 지금 깨어있느냐? 중생의 고통이 느껴지지 않느냐? 너의 게으름과 이기심으로 인간으로 태어난 이 귀중한 시간을 보리심에 대하여 발심 하고 습관화 시키고 증진시켜서 삶의 전부로 만들어야 한다.

발보리심과 행보리심에 대하여 고민하고 습관하 시켜야 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