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릿 정리

2023. 7. 31. 13:02수집/자기계발

728x90
반응형

https://www.yes24.com/Product/Goods/69622442

 

그릿 (50만 부 판매 기념 리커버 골드에디션) - 예스24

끝나지 않는 역주행 돌풍! 켈리 최, 자청 등 셀럽, 리더, 언론이 추천한 새로운 자기계발서의 고전!국내 50만 부 돌파, 150쇄 기념 『그릿 GRIT』 골드 에디션 출간!“당신에겐 ‘그릿’이 있는가?”

www.yes24.com

<중요한 문장>

재능 X 노력 = 기술

기술 X 노력 = 성취

그릿은 당신이 매우 관심이 있어서 계속 고수할 용의가 있는 일에 노력을 기울이는 거예요.

 

그릿을 구성하는 두 요소는 열정과 끈기다.

 

당신에게는 인생철학이 있습니까?

 

"왜?" 라는 질문을 스스로에게 하고 "왜냐하면---" 이라는 답변을 계속 해나가다 보면 목표의 위계에서 최상위 목표에 이르게 된다. 최상위 목표는 다른 목적을 이루기 위한 수단이 아니다. 그 자체로 목적이다. 일부 심리학자는 최상위 목표를 "궁즉적 관심" 이라고 부른다. 나는 최상위 목표를 모든 하위 목표에 방향과 의미를 제공하는 나침반으로 생각한다.

 

전문가들의 의식적인 연습방법

  1. 도전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전체 기술 중에 아주 일부분에 집중한다. (약점을 개선하려고 노력한다.)
  2. 도전적 목표를 설정한 뒤에는 그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온전히 집중하고 비상한 노력을 기울인다.
  3. 도전적인 목표에 도달한 다음에 새로운 도전적인 목표를 놓고 전 과정을 다시 시작한다.
  4. 하나씩 개선시킨 부분들이 모여서 전체적으로 숙달된 눈부신 기량이 나온다.

내가 버틸 수 있는 힘은 할 수 있다는 믿음에서 나옵니다. 그 믿음은 자부심에서 나오죠. 그리고 그 자부심은 우리의 삶 속에서 다른 사람들이 어떤 느낌을 심어주었는지에 달려 있습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행복을 추구하는 데 적어도 두 가지 길이 있다는 사실을 가장 먼저 인식한 학자다. 그는 선한 내면의 정신과 조화를 꾀하는 에우다이모니아가 행복에 이르는 한 가지 길이며, 긍적적이고 순간적이며 본질적으로 자기중심적 경험인 헤도닉이 다른 하나의 길이라고 했다. 아리스토 텔레스는 헤도닉을 추구하는 삶은 원시적이고 천박하며 에우다이모니아를 추구하는 삶이 고귀하고 순수하다고 주장함으로써 어떤 삶을 지지하는지 분명하게 밝혔다.

 

천직은 어느 날 갑자기 찾아오지 않는다. 자기 일을 바라보는 시각이 직함보다 중요하다.

 

많은 요구를 하는 동시에 지지해주는 부모가 현명한 양육방식이다. 자녀의 심리적 욕구를 정확히 판단하고 자녀가 잠재력을 최대한 실현하려면 사랑, 한계, 자유를 필요로 한다는 점을 인식하고 있다. 그들의 권위는 권력이 아니라 지식과 지혜를 바탕으로 한다.

 

스스로 진로를 선택할 기회를 말살하지 않으면서 그릿을 기르도록 장려하고 싶다면 어려운 일에 도전하기 규칙을 권한다.

 

투지를 기르는 어려운 방법과 쉬운방법이 있는 것 같아요. 어려운 방법은 혼자 투지를 기르는 거죠. 쉬운 방법은 인간의 기본 욕구인 동조 욕구를 활용하는 거고요. 투지가 강한 사람들 곁에 있으면 본인도 더 투지 넘치게 행동하게 되거든요.

 

문화가 장기적으로 우리의 정체성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친다. 집단의 규범과 가치는 내면화되고 우리는 늘 함께한다. 그 집단의 일 처리 방식과 이유는 점차 내가 일하는 방식과 이유가 된다. 

 

자신은 힘겨운 역경도 극복할 수 있는 사람이라는 생각은 그런 자아개념을 확증해주는 행동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내적 에너지원이 있다는 생각이 터무니 없다 해도 비유가 이보다 적절할 수는 없다.

 

인생이라는 마라톤에서 우리가 어디까지 갈지를 좌우하는 요인이 그릿, 즉 장기적 목표를 향한 열정과 끈기이다. 우리는 재능에 현혹되어 그 단순한 진실을 간과하고 있다. 그릿을 키우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가 있다.

첫째는 안에서 박으로 그릿을 키워나갈 수 있다. 여러분은 관심사를 계발할 수 있다. 현재의 기술 수준을 능가하는 도전 과제를 매일 연습하는 습관을 들일 수 있다.

다음으로 밖에서 안으로 그릿을 길러갈 수도 있다. 우리의 그릿 개발은 부모, 코치, 교사, 멘토, 친구 등 다름 사람에게 크게 의존하고 있다.

 

 

<내 생각>

나는 행복해 지고 싶다. 행복은 두 가지 형태 라고 생각한다. 욕구를 만족시키는 행복과 현재의 것들에 만족하는 행복이다.

 

욕구를 만족시키는 행복은 일시적인, 사라지는 행복으로서 더 많은 행복을 원하는 원인이 된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우리는 끊없는 행복을 추구하면서 살아간다. 이 행복이 잠시 왔다가는데도 그 잠시의 행복에 끊임없이 집착 욕망하며 살아간다.

이 행복은 이 마음이 일시적으로 만들어 내는 것이다. 우리가 살면서 경혐하게 되는 모든 일들, 인연은 우리가 삶을 받아들이는 방식에 의하여 행복인지 불행인지를 끊임없이 판단하며 마음으로 판단된 행복을 추구한다. 이러한 본성은 우리가 살면서 교육받고 인간이 본능적으로 경험하면서 쌓아온 결과 일 것이다.

 

두번째 행복은 현재의 것들에 만족하는 행복, 이 세상은 모든 것들이 인연을 맺으며 살고 있다. 인간도 자연의 일부이고 자연도 인간의 일부이며 동,식물도 인간의 일부이다. 이런 것들을 조금 더 자세히 보게 되면 우리가 지금 모든 자연과 동,식물, 사람들에게 받고 있는 인연들이 얼마나 큰 행복인지 알게 될 것이다. 이렇게 행복을 정의하고 살면 마음에서 좋은 일과 나쁜 일이 발생해도 그것에 집착하거나 욕망하는 것이 줄어든다. 그럼 이런 인연들에 집착하지 않게 된다. 그렇지 않으면 행복이라 마음이 정의한 것들에 집착하고 욕망하여 스스로 불행이라는 인연을 초래하는 결과가 나타날 수 있다. 행복과 불행도 없지만 그것을 정의하고 집착하는 마음에서 벗어날 때 진정한 행복의 의미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728x90
반응형

'수집 > 자기계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행자 <확장판> 정리  (1) 2023.09.12
그레이트 마인드셋 정리  (0) 2023.09.08
김미경의 마흔 수업 정리  (2) 2023.05.05
일을 잘한다는것 정리  (1) 2023.05.03
거인의 노트 [김익환] 정리  (1) 2023.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