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7. 17. 17:30ㆍ수집/인문학
http://www.yes24.com/Product/Goods/109322534
최재천의 공부 - YES24
시인의 마음으로 생태계를 탐구해온 최재천 교수삶을 위한 공부를 말하다『최재천의 공부』는 동물과 인간을 깊이 관찰해온 최재천 교수가 10여 년 전부터 꼭 쓰고 싶었던 책으로, 지금 이 시대
www.yes24.com
무엇을 배워야 할까? 환경 , 토론, 기초과학?
자꾸 알아가려는 노력이 축적될수록 이해하고 사랑할수 밖에 없어요. 공부와 교육이 중요한 이유입니다. 교육의 내용이 사실을 분별할 수 있도록 채워져야 하고, 진실을 말하는 전문가들의 말이 일반인에게 신뢰를 받아 통용될 수 있도록 사회의 갈등이 잦아들어야 합니다. 갈등의 골이 깊으면 진영 논리로 사실을 외면하려는 경향이 커집니다. 저는 무엇보다 앎이 가져오는 사랑이 소중하다고 여겨요. 우리인간은 사실을 많이 알면 알수록 결국엔 이해하고 사랑하는 방향으로 나아갑니다.
아이를 가르쳐서 무언가를 하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아이 스스로 세상을 보고 습득하도록 어른이 환경을 조성해주는 것 그것이 바른 교육입니다. 교사의 가장 중요한 역활은 아이들의 호기심을 자극하면서 서로 소통하게 하는 거니까 그것으로도 충분하다.
도대체 삶이 뭔데, 이렇게 학교와 학원을 돌고 돌며 살아야 하나? 무엇을 위해 열심이 공부하고 무엇을 성취해야 하기에 쉼없이 배워야 하나? 사실 교육이란 , 먼저 살아본 사람들이 다음 세대에게 살아보니까 이런게 필요하더라 하고 조금은 준비하고 사회에 들어왔으면 좋겠다는 마음으로 가르치는 거잖아요. 삶의 중요한 시기에 있는 아이들의 시간을 우리가 지금처럼 빼앗아도 될까?
어떤 자원을 동원해서 어떻게 문제를 풀어나갈까를 가르쳐야 하는데, 우리는 주어진 문제를 한정된 시간 안에 어떻게 푸는지를 가르치죠.
평가가 달라지면 된다. 긴 시간을 주고 평가하는 방식 : 매주 독서 리포트, 그룹 프로젝트, 토론등
공부의 구성 요소
1주일 앞서 한다.
홀로 있을때 생각은 자란다.
You never know until you try
글쓰기가 키워내는 힘 (Reading, Writing, Speaking Intensive Cource)
무엇을 어떻게 읽을까? 독서는 일이어야만 한다. 독서는 빡세게 하는 겁니다. 독서를 일처럼 하면서 지식의 영토를 계속 공략해나가다 보면 거짓말처럼, 새로운 분야를 공략할 때 수월하게 넘나드는 나를 만나게 됩니다.
생각하는 힘을 기른다. 창의력이란 온 마음을 쏟으며 길을 모색하는 경험에서 나온다. 창의력을 키우는 교육은 자기 일처럼 몰두하고 부딪쳐나가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다.
<내 생각>
요 근래 우연히 읽으면서 가장 재미있고 쉽게 읽었던 책이다. 요즘 개인과 삶에 대한 철학적인 궁금증이 더해 지면서 공부에 대하여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되었고, 나와 같은 방향으로 생각 하시는 부분에 대하여 즐거웠던것 같다.
공부를 어떻게 왜 배우며 살것인가? 나는 살아가면서 의무교육 12년을 주입식 교육으로 받아왔고, 학습지로 영어를 하면서 영어에 대하여 조금 더 배울 수 있게 대학교를 가야겠다고 생각하였지만, 암기 및 주입식 교육에 흥미를 느끼지 못하고 점수도 낮아서 언어쪽 대학은 가지 못하고 점수에 맞는 기술을 배우는 대학교에 가야 했다. 그러나 그렇게 들어간 대학은 내가 왜 이것을 배워야 하는 가에 대한 의문점이 들게 하였고, 대학 생활에 대한 재미 또한 없게 되었다. 하지만 집안상황이 어려워지자 무엇이라도 해야 한다는 생각이 다시 들었고, 지금 내가 현재 할 수 있는 일이 공부 밖에 없다는 사실에 다시 공부를 하게 되어 현재 까지 달려 온것 같다.
먼저 공부를 무엇을 할 것인가는 덜 중요하다. 자기가 좋아하고 상황에 따라서 변경되는 주제들에 대하여 공부를 하다보면 여기저기서 만나게 되어 통섭적 사고를 진행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공부를 왜, 어떻게 해야 하는가는 중요하다. 공부는 시간싸움이다. 이 시간을 왜 와 어떻게가 해결이 안된다면, 공부에 대한 효율성이 없어지고, 목적성도 사라져서 공부에 대한 재미와 의미가 사라져서 그만 두게 되는 경우가 생길것이다.
공부는 왜 해야 하는가? 사람은 살아가면서 많은 경험을 하게 된다. 경험을 하면서 시행착오를 겪게 되는 문제점에 대하여 좀더 효율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살아가게 된다면 더 즐거운 삶이 되지 않을까? 그리고 사람과 환경, 지구는 모두 연결되어 있다. 서로 무슨 생각을 하는지 관념과 세상의 이치, 심리 등 교육적으로 사회와 유기적인 관계를 맺어가면서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지식을 배워서 좀더 남을 사랑하고 지구와 환경을 존중하는 사람이 되고자 공부를 해야 되지 않을까?
요즘 따라 인간의 무지와 오만으로 인하여 지구와 환경을 파괴하고 편파적인 생각으로 분열을 일으키는 부분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가기 위하여 공부를 열심히 해야 할듯 하다.
철학적으로 인간의 몸과 두뇌와 마음 심리에 대하여 기초적으로 배우고 인간은 이런 속성과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무엇을 할것인지에 대하여 고민하는 단계가 필요하다. 이런 고민을 통하여 인간이 가지고 있는 이런 속성들이 사회에 어떤 영향력을 미치는지 고민하고 현재 인간의 영향력이 미치는 모든 것들이 사회 구조속에서 어떤 규칙과 법, 사회규범, 문화, 종교라는 테두리와 인간 삶의 패턴으로 자리 잡고 있는 지를 공부하게 된다면 조금 더 자기 자신에 대한 이해와 앞으로 무엇을 해야 할지 왜 해야 하는 지에 대하여 명확하게 생각하게 될것이라고 생각한다.
공부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사람이 살아가게 되는데 필요한 교육들이 많다고 생각한다. 정치, 철학, 생물, 물리, 심리학, 생리학, 환경, 지구과학, 경제 등 현재 사람들이 살아가면서 필수적으로 경험하고 배우면서 살아가야 될 학문을 시험을 위한 공부가 아니라 좀 더 삶의 일부로서 배우고 학습해 나갈 수 있는 환경이 주어진다면 좀 더 밝은 미래의 대한민국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입시교육에 대한 평가 방식과 교육방식이 사라지고 자신이 좋아하는 직업을 선택하여 살아가도 기본적인 생활권이 보장되는 사회가 된다면 좀더 즐거운 세상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현재에 주어진 모든 것들을 기반으로 모든 사람들에 대하여 항상 미안해 하고, 용서를 바라고, 고마워 하고, 사랑하게 된다면 좀 더 나아지는 사회가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수집 > 인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신의 인생이 왜 힘들지 않아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정리 (0) | 2023.09.02 |
---|---|
집단착각 정리 (0) | 2023.06.11 |
직관펌프 생각을 열다 <의미 또는 내용을 위한 생각 도구> 정리 (0) | 2023.05.31 |
어떻게 사는 인생이 행복한 인생인가? <강신주> 정리 (0) | 2023.05.28 |
사고의 본질 정리 (0) | 2022.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