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가지 질문 [바이런 케이티] 정리

2023. 2. 26. 01:00수집/자기계발

728x90
반응형

http://www.yes24.com/Product/Goods/11043221

 

네 가지 질문 - YES24

개인마다 바라는 소원은 수없이 다양하지만, 그 소원들을 통해 이루고 싶은 것은 결국 행복일 것이다. 우리는 누구나 행복하게 살길 원한다. 어떻게 하면 행복할 수 있는가? 이 책은 이 질문에

www.yes24.com

[들어가는 말]

그녀가 발견한 '스스로 질문하는 법'은 마음의 다른 능력을 이용하여, 마음이 스스로 만든 함정에서 빠져나오는 길을 발견하게 한다.

 

'작업'속으로 더 깊이 들어갈수록 그 힘을 더 많이 깨닫게 된다. 한동안 '작업'을 실천해 본 사람은 애기한다. "이제는 내가 작업을 하는 게 아니라, 작업이 스스로 이루어집니다." 또한 의도하지 않아도, 마음이 스트레스를 주는 생각을 스스로 알아차리고 고통을 일으키지 않게 한다고 말한다. 그들은 현실에 대한 불만이 사라지고 사랑만이 남아 있음을 깨닫는다. 자기에 대한 사랑, 다른 사람에 대한 사랑, 삶이 가져오는 모든 것에 대한 사랑. 이제 지금 있는 것에 대한 사랑은 숨 쉬듯이 쉽고 자연스러워진다. 

 

나는 네 가지 질문을 소개하기 위해 지금까지 기다렸다. 배경을 알면 이 질문들을 더 잘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질문들을 만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작업'을 한 실제 사례를 보는 것이다. 여러분은 케이티가 '뒤바꾸기' 라고 부르는 것도 만나게 될 텐데, 그것은 자신이 믿는 생각을 정반대로 바꾸어 보는 방식이다. 

 

[인상깊은 문장]

1장 몇가지 기본 원칙

  • 나는 온 우주에서 세 가지 일만을 봅니다. 나의 일, 남의 일, 신의 일 (모든 사람의 통제를 벗어나는 일은 무엇이든 신의 일) 우리가 스트레스를 받는 까닭은 대부분 마음으로 자기의 일을 벗어나 다른 곳에서 살기 때문입니다. 내가 마음으로 남의 일이나 신의 일에 간섭하고 있을때 분리가 일어납니다.
  • 고통을 일으키는 것은 생각이 아니라, 생각에 대한 집착입니다. 생각에 집착한다는 것은 그 생각이 진실하다고 믿고서 조사하지 않은 것입니다. 믿음은 우리가 때로는 아주 오랫동안, 집착하는 생각입니다.
  • 대부분의 사람들은 생각이 '나'라고 얘기하는 것을 진짜 '나'라고 믿습니다. 

2장 완전한 자유의 길

  • 작업을 할 때 당신은 다른 사람을 누구로 생각하는지 알게 됨으로써 자신이 누구인지 알게 됩니다. 그리고 마침내 자기 밖에 있는 모든 것이 자기 생각의 반영임을 알게 됩니다. 당신은 이야기꾼이며, 모든 이야기를 밖으로 투사하는 투사기입니다. 세상은 당신의 생각들이 투사된 모습입니다. 마음이 종이 위에서 멈추면, 생각들은 움직이지 않고 그대로 있어 쉽게 조사될 수 있습니다.
  • '작업'을 하다 보면 당신이 다른 사람을 어떻게 생각하는지 알게 되고, 이를 통해 자신이 어떠한지 알게 됩니다. 그리고 마침내 자기 바깥의 있는 모든 것이 자기 생각의 반영임을 알게 됩니다. 당신은 이야기꾼이자, 모든 이야기를 바깥으로 투사하는 사람이며, 세상은 당신의 생각들이 투사된 이미지 입니다.
  • '작업'을 할 때는 판단들을 쓰지 않고 그냥 진행하려는 유혹을 따르지 않기를 바랍니다. 마음은 빛의 속도보다 더 빨리 자기를 정당화할 수 있지만, 종이에 쓴느 행위를 통해 멈춰질 수 있습니다. 일단 마음이 종이 위에서 멈추면, 생각들은 움직이지 않고 그대로 있는 까닭에 쉽게 조사될 수 있습니다. 만일 정말로 진실을 알고 싶다면, 또 종이에 쓰인 자신의 이야기를 기꺼이 보려한다면, 에고는 미친 듯이 써 나갈 것입니다. 
  • 이웃을 판단하는 양식
    1. 당신을 화나게 하거나 슬프게 하거나 실망시키는 사람은 누구인가요? 당신은 그사람의 어떤 점이 싫은가요?
    2. 당신은 그 사람이 어떻게 바뀌기를 원하나요? 그 사람이 어떻게 하기를 원하나요?
    3. 그 사람이 해야 하거나 하지 말아야 할 것들(행위,태도, 생각, 느낌 등) 은 무엇인가요?
    4. 당신이 행복하기 위해 그 사람이 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것들은 무엇일까요?
    5. 당신은 그 사람을 어떻게 생각하나요? 목록을 만들어 보세요
    6. 당신이 그 사람(그것, 그 상황)과 다시는 경험하고 싶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 탐구 : 네 가지 질문과 뒤바꾸기
    1. 그게 진실인가요?
    2. 당신은 그게 진실인지 확실히 알 수 있나요?
    3. 그 생각을 생각할 때 당신은 어떻게 반응하나요?
    4. 그 생각이 없다면, 당신은 누구일까요?

5장 더 깊이 탐구하기

  • 질문 1: 그게 진실인가요?
  • 질문 2: 그게 진실인지 당신은 확실히 알 수 있나요?
  • 질문 3: 그 생각을 믿을 때 당신은 어떻게 반응하나요?
  • 질문 4: 그 생각이 없다면 당신은 누구일까요?
  • 뒤바꾸기와 결합된 탐구는 자신이 진정 누구인지를 깨닫는 지름길입니다. 자기 문제의 원인이 '밖에' 있다고 생각하는 한, 자기의 고통이 다른 사람이나 다른 무엇 때문이라고 생각하는 한, 그 상황은 나아질 희망이 없습니다. 
  • 뒤바꾸기에는 세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하나의 판단은 자기 자신으로, 상대방으로, 그리고 정반대로 바뀔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폴은 나를 존중해야 한다" 는 문장을 봅시다.
    • 상대방을 자기 자신으로 바꿔 보세요 (나는 나를 존중해야 한다. (이것은 그의 일이 이니라 나의 일입니다.) )
    • 자기와 상대방을 맞바꿔 보세요 (나는 폴을 존중해야 한다 (특히, 그가 나를 존중하지 않을 때))
    • 반대로 바꿔 보세요 (폴은 나를 존중하지 않아야 한다 (그가 그렇게 할 때까지는))

 

 

 

 

 

 

 

[내 생각]

인간은 살아가면서 여러가지를 경험하고 그 경험으로 발생하는 여러가지 생각으로 인하여 자기에 대한 자의식과 자기 이외의 것들에 대한 관념을 가지고 살아간다. 마치 자기에 대한 자의식과 자기 이외의 것들에 대한 관념이 마치 자기 자신인것 처럼 그 자신이라고 생각하는 모든 것 들이 원래는 자기의 것이라고 할 수 있는 것들이 아무것도 없다는 사실을 무의식속에 깊이 간직한채 문득 문득 이러한 자기 자신을 스스로 되돌아 보는 순간이 나타날 수 있지만 순간 나타나는 자신의 본성에 대하여 잊어버리고 다시 세상을 살아가면서 배우는 경험으로 생긴 자의식과 남에 대한 관념으로 살아간다.

 

꿈에서 보여지는 모든것들은 꿈에서는 모든 것들이 진실이라고 믿고 자신의 생각이 만들어 낸 허상이라는 것을 깨닫지 못한다. 싸우는 꿈을 꾸면 마치 진짜 싸우다가 맞으면서 몸이 진짜 반응하여 꿈을 깨는 것처럼. ㅋㅋ

 

꿈을 꾸면 꿈에서 깨어나면 된다. 꿈에서 깨어나서도 자의식과 관념의 꿈으로 세상을 바라보고 살고 있다면 그것도 꿈에서 깨어나면 된다. 그 꿈을 꾼적이 없었던 것 처럼. 

 

바이런 케이티도 이런 꿈에서 깨어나게 하기 위하여 서양 사람들에게 작업(자기라는 아상에 사로잡힌 꿈에서 깨어나는 작업)을 하는 단계를 그 들이 이해할 수 있는 논리적인 사고체계를 통하여 의미를 스스로 확인 할수 있게 도와 주는 좋은 사람인듯 하다.  부디 스스로 꿈에서 깨어나기를 원한다. 이 모든 세상 현실의 꿈이 너무 좋아서 깨어나기 싫을때도 있고 너무 슬프거나 화가나거나 무섭거나 해서 이것이 꿈인지 모를때도 있을 때지만 항상 올바르게 바라보고 올바르게 생각해야 한다. 그것이 마치 원래 그러하던 것처럼.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