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의 원칙이란?

2024. 11. 22. 18:53수집/에세이

728x90
반응형

삶을 살아가면서 나의 원칙이 있는가?

요즘 나는 무언가를 원하게 되면서 하고자 하는 것들이 생기면서 자연스럽게 습관이 되고 원칙이 되는것 같다.

마음공부를 올바른 정신으로 하기 위해서

아침 운동하고
틈틈이 책 읽고
산책하고
명상하기
일찍 잠자기

이것들이 습관이 되면서 삶의 원칙이 되어가고 있다.

삶이 너무 밋밋한가?

어제 관찰하는 것에 대하여 글을 쓰다가
오늘 연관되는 책이 있어서 같이 이야기 하고자 한다.

어제 관찰의 중요성에 대하여 이야기 한것을 다시 생각해보니 모든 사람이 학습이라는 도구로 관찰의 형태를 수행하고 있다고 생각하였다.

근데 아무리 관찰하려고 하거나 학습 하려고 해도 너무 많은 것들이 주변에서 흘러 들어와 내가 무엇 때문에 변화되는지 내가 무엇을 관찰하려고 하였는지 내가 무엇을 학습하려고 했는지 까먹는다.

그래서 노트와 정리 일기를 중요하게 말했는데 오늘 책을 읽다 보니 진짜 근본적인 것을 놓치고 있었다.

삶의 단조로움 단순함 이것이다.
왜? 이렇게 생각하는 사람에게 아래 내용을 소개한다.

https://millie.page.link/ExCV5CCVP51hZyT88

https://millie.page.link/s?socialDescription=%EB%8F%85%EC%84%9C%EC%99%80+%EB%AC%B4%EC%A0%9C%ED%95%9C+%EC%B9%9C%ED%95%B4%EC%A7%80%EB%A6%AC,+%EB%B0%80%EB%A6%AC%EC%9D%98+%EC%84%9C%EC%9E%AC%EC%97%90%EC%84%9C+%EB%8B%B9%EC%8B%A0%EC%9D%98+%EC%9D%BC%EC%83%81%EC%9D%84+1%EB%B0%80%EB%A6%AC%2B+%EB%8D%94+%EB%A9%8B%EC%A7%80%EA%B2%8C+%EB%A7%8C%EB%93%A4%EC%96%B4+%EB%B3%B4%EC%84%B8%EC%9A%94&socialImageUrl=https://img.millie.co.kr/200x/service/cover/179682741/0ffd750b54184e0eb5eac40722d49919.jpg&socialTitle

독서와 무제한 친해지리, 밀리의 서재에서 당신의 일상을 1밀리+ 더 멋지게 만들어 보세요

millie.page.link



오랫동안 이런 생활을 이어 오시면서 반드시 지키는 원칙이 있으신가요? - <무지의 즐거움>, 우치다 타츠루 지음 / 박동섭 옮김 - 밀리의 서재

일하는 원칙이라면 이처럼 판에 박은 듯한 루틴을 지키는 것 - <무지의 즐거움>, 우치다 타츠루 지음 / 박동섭 옮김 - 밀리의 서재

꾸준히 결과물을 내는 사람들은 대체로 이렇습니다.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서 매일 ‘판에 박은 듯한 일과’를 반복합니다. 이건 어쩔 수 없는 일입니다. 머릿속에서 일어나는 미세한 변화를 감지하려면 그 이외의 일은 가능한 한 매일 똑같이 반복하는 편이 좋으니까요 - <무지의 즐거움>, 우치다 타츠루 지음 / 박동섭 옮김 - 밀리의 서재

물론 루틴을 지킨다고 해서 결과물의 양이 늘어날 거라고 확신할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무언가를 창조하거나 창작하려면 자기 안에서(뇌 또는 신체 깊은 곳에서) 일어나는 미세한 변화를 감지하는 과정이 필요하다는 것은 틀림없습니다 - <무지의 즐거움>, 우치다 타츠루 지음 / 박동섭 옮김 - 밀리의 서재


무언가를 꾸준히 해서 결과를 내고 성취하는 사람들은 자기 안에서 일어나는 미세한 변화를 항상 인식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단조로운 삶을 통해서 자신이 변하거나 받아들이는 최소화 해야 변화를 감지하고 기억할수있다. 가장 기본적인 것인데 모르고 있었다니 이렇게 인연이 되어 다가온 책으로 오늘도 단조로운 삶의 원칙의 중요성에 대하여 다시금 생각하게 되었다.

모두 편안하고 행복한 단조로운 삶을 살아가기를 기원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