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9. 6. 00:06ㆍ수집/불교
http://www.yes24.com/Product/Goods/3737023
인간 붓다 - YES24
인간 붓다, 그의 사상과 생애를 감동적으로 묘사하다붓다의 일대기와 사상을 쓴 책이다. 위대한 스승이며 한 종교의 지도자인 고타마 싯다르타는 인류의 실존적 고통에 대해 적절한 해법을 제
www.yes24.com
아난다야 모든 승가의 대중은 마땅히 자기 스스로가 등불이 되고 자기 스스로가 의지처가 될 것이며, 부디 다른 사람을 의지처로 삼지 말아야 한다. 또한 진리의 법을 등불로 삼고 진리의 법을 의지처로 삼을 것이며, 부디 다른 것을 의지처로 삼지 말아야 한다.
아난다야, 비구,비구니,우바새,우바이가 법을 잘 받아서 깊고 미묘한 이치를 생각하고 계율을 청정하게 지키고, 그 법과 계율에 따라 올바로 행하면 그것을 일러 여래를 참으로 공양하는 것이라 하느니라.
공양은 자기중심적인 욕망을 버리고 타인을 위해 모든 것을 양보하고 사랑하겠다는 마음가짐을 키우는 수행입니다.
부처님께서는 말씀하셨다.
수행자들이여 나는 비록 떠나지만 진리의 가르침은 남아있을 것이다. 또한 네가지 인연이 있어서 그대들에게 복을 얻게 할 것이니라. 첫째는 중생들이 굶주려 있으면 그들에게 음식을 공양해 목숨을 잇게 하고, 둘째는 중생들이 병들어 고통받고 있으면 그들을 보살피고 공양해 편안하게 해줄 것이며, 셋째는 가난하고 고독한 자가 있으면 그들과 함께하고 공양하며 보호해 주고, 넷째는 청정하게 수행을 하는 이가 있으면 그를 위해 옷과 밥을 공양하고 외호애 주어야 할 것이니라. 이 네가지 법이 있으면 부처님께 공양하는 것과 다름이 없으니, 부처님이 계시는 것과 다름이 없느니라.
첫째는 사건이니, 이 세상과 전 세상에 지은 것을 스스로 받는 줄을 알지 못하고 점치고 제사 지내는 것으로 복을 구하느니라.
둘째는 삿된 생각이니, 생각이 애욕에 있고 다투어 성내는 마음에 있느니라.
셋째는 삿된 말이니, 허위로 아첨하고 간사하게 속이고 꾸미는 말을 하느니라.
넷째는 사행이니, 산목숨을 죽이고 도둑질하며 음란하고 방탕함이니라.
다섯째는 삿된 생활이니, 이익과 옷이나 먹을 것 따위를 구할 적에 바른 도로써 하지 않느니라.
여섯째는 삿된 수행이니, 나쁜 짓을 끊지 않고 좋은 짓을 하지 않느니라.
일곱째는 삿된 뜻이니, 뜻으로 늘 즐거움을 탐하고 이 몸을 깨끗하다고 하느니라.
여덟째는 사정이니, 세속의 욕망을 채우려 하고 벗어나는 길을 보지 못하느니라.
팔진도의 첫째는 바로보는 것이니, 이 세상에서 좋은 일을 하면 뒷세상에서 복이 있고 나쁜 일을 하면 재앙이 오는 것을 알며, 고를 알고, 고의 원인을 알며, 온갖 행을 멸하고, 도를 얻는 것이니라.
둘째는 바로 생각하는 것이니, 즐거이 집을 나가는 것을 생각하고 다투고 성내는 마음을 버리느니라.
셋째는 바른 말을 하는 것이니, 말이 진실하고 정성스러우며 부드럽고 충성하고 믿을 만한 것이니라.
넷째는 바른 행동을 하는 것이니, 살생하지 않으며 도둑질하지 않고 음란한 마음이 없는 것이니라.
다섯째는 바른 생활을 하는 것이니, 이익과 옷과 음식 따위를 구할 적에 도로써 하고 삿되게 하지 않음이니라.,
여섯째는 바른 정진이니, 나쁜 행위를 억제하고 착한 뜻을 일으키는 것이니라.
일곱째는 바른 관찰이니, 몸과 느낌과 마음과 법이 떳떳함이 없으며 모두 괴로우며 주체성이 없고 부정한 것이라고 보는 것이니라.
어덟째는 바른 정이니, 항상 무위하며 4선행을 이루는 것이니라.
출가 수행자에게는 반드시 버려야 할 두 가지 장애가 있다.
첫째는 마음이 욕망의 경계에 집착해 쾌락에 빠진 것이니 이는 어리석은 범부들이 찬탄하는 바이며 출가인의 숭고한 목적을 위해서는 무익한 것이다. 또 하나는 자신의 육체를 스스로 괴롭히는 것에 열중해 고행에 빠지는 것이니, 이 두가지는 해탈의 원인이 아니므로 반드시 버려야 한다.
중도란 무엇인가? 이는 여덟 가지 성스러운 길 팔정도를 말함이니,
곧 바른 눈 [정견]
바른 관찰 [정사유]
바른 말 [정어]
바른 행위 [정업]
바른 생활 [정명]
바른 노력 [정정진]
바른 집중 [정념]
바른 마음의 통일 [정정]
사성제는 무엇인가? 괴로움이라고 하는 진리 [고제]가 있다. 테어나는 것도 괴로움이며 늙는 것도 괴로움이며 병을 앓는 것도 괴로움이며 죽는 것도 괴로움이며 늙는 것도 괴로움이며 병을 앓는 것도 괴로움이며 죽는 것도 괴로움이다. 근심과 걱정과 슬픔과 안타까움도 괴로움이다, 미워하는 사람끼리 만나는 것도 괴로움이며 사랑하는 사람과 해어지는 것도 괴로움이다. 바라는 것을 얻지 못하는 것도 괴로움이며, 우리 인생 전부가 괴로움이다.
수행자들이여, 이와 같이 '괴로움이 생기는 원인'을 말하는 진리 [집제]가 있다. 미혹한 생존을 있게 하고, 기쁨과 탐욕을 동반하고, 모든 것에 집착하는 애욕과 갈망이 곧 괴로움의 원인이다. 그것은 정욕적인 애욕과 생존에 대한 갈애와 생존이 없어질까 봐 집착하는 갈망의 셋이다.
수행자들이여, 이 같은 '괴로움이 소멸'된 진리 [멸제]가 있다. 이 갈애를 남김없이 없애고 버리며 떠나고 벗어나 집착하지 않는 것이다. 수행자들이여 '괴로움을 소멸시키는 길'인 [도제]가 있다. 그것은 여덟 가지 거룩한 실천이다.
수행자들이여, 괴로움에 대한 거룩한 진리를 발견하고 그것을 바로 알아 철저히 인식해야 하며, 괴로움의 원인을 발견하고 그것을 끊어버려야 한다. 괴로움이 소멸된 경지를 증득하고자 괴로움을 없애는 길을 발견하고 그것을 실제로 실천해야 한다. 나는 이 네가지 거룩한 진리를 각각 세 가지 단계로 나누어 바르게 알고, 소멸시키고, 닦고, 증득함으로써 부처가 되었다. 이 네 가지 법은 다른 이로부터 듣거나 스스로 만들어낸 것이 아니요. 세상의 법을 수순해 이치대로 관함을로써 지가 생기고 눈이 뜨여서 두루 밝게 살핌으로써 혜가 생겨서 광명을 얻었느니라.
수행자들이여, 세상 사람들은 고통의 바다에 빠져 있나니[고], 이 고통은 잘못된 탐욕과 집착 때문에 생기는 것이다[집], 그런 까닭에 눈을 떠서 이 탐욕과 집착의 뿌리를 뽑아버리면 고통을 벗어나 무한 생명의 기쁨을 성취하리니[멸], 그대들이 여덟 가지 성스러운 길[팔정도]을 힘써 행하여 닦으면 [도], 누구든지 눈을 뜨고 큰 깨침을 얻을 것이다. [사성제]
'수집 > 불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틱낫한 스님 마음 (십이연기) (0) | 2022.10.15 |
---|---|
청화스님 사성제 (0) | 2022.10.13 |
종범스님 보현행품 (0) | 2022.08.21 |
보현행원품 (0) | 2022.08.21 |
입보리 행론의 지혜 (0) | 2022.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