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1. 30. 12:22ㆍ수집/에세이
https://millie.page.link/P21th
다행히도 죽지 않았습니다
김예지 작가의 두 번째 만화 에세이 "인생은 가혹하기도 하지만, 생각보가 살만하기도 합니다"라는 이야기를 하기 까지 작가가 견디고 이겨낸 불..
www.millie.co.kr
<인상깊은 문장>
- 불안장애
- 당황할 가능성이 있는 사회적 상황 또는 과제를 수행하는 상황에 대해 현저하고 지속적인 공포를 지닌다.
- 이와 같은 사회적 상황에 노출되면 거의 빠짐없이 즉각적 불안 반응이 나타남
- 지독하게 외롭다. 나 밖에 없는 것 같아.
- 사회불안 장애
- 불안 장애 중 하나로, 사회 불안이 있는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과 상호 작용하는 사회적 상황을 두려워하고 이를 회피하는 경향이 있다. 낯선 사람들이 자신을 유심히 보는 것 같이 느끼거나 심지어 다른 사람들과 마주칠 것 같은 사회적 상황까지도 비현실적으로 강렬히 두려워한다.
- 진단기준
- 하나 또는 그 이상 사회적 상황이나 활동 상황에 대해 지속적인 두려움이 있다.
- 두려운 사회적 상황에의 노출은 거의 매번 불안을 유발한다.
- 자신의 공포가 지나치거나 비합리적임을 인지하고 있다.
- 공포스러운 사회적 상황을 회피하려 하고, 피하지 못하면 불안과 고통을 경험한다.
- 이로 인한 고통이 직업적, 기능적, 사회적 영역을 심각하게 저해하거나 공포로 심한 고통을 받는다.
- 18세 이하인 경우 기간이 6개월 이상 되어야 한다.
- 공포나 회피가 물질이나 일반적 의학적 상태로 인한 것이 아니며 다른 정신 장애로 잘 설명되지 않는다.
- 만약 일반적 의식적 상태 또는 다른 정신장애가 존재할 경우, 진단기준(1)에서의 공포는 이것과 연관되는 것이 아니어야 한다.
- 꾸준한 상담, 꾸준한 운동, 꾸준한 약물 복용
- 내가 누리지 못하는 일상을 누리는 친구들을 시샘하고 질투하고 있었다. 왜 나는 애들처럼 살지 못하지? 내가 뭐가 못나서? 그러다 보니 친구들의 조그마한 말에도 상처받기 시작했고 아까 왜 나한테 그런 말을 했을까? 내가 이러고 있다고 무시하나? 생각하니 기분 나쁘네? 나는 극단적인 선택을 했다. 네가 뭘 알아? 알지도 못하면서 나불거리고 있어. 다 필요 없어
- 사회적 기능은 떨어질 대로 떨어졌는데 나란 인간은 욕심이 많은 사람이라.
- 자살하고 싶어 하는 원인을 함께 고민해줘야 한다.
- 일단 네가 살아야 돈도 의미가 있지
- 심리 상담센터
- 내 감정을 똑바로 애기하고 아닌것은 아니라 표현하고 부정적 감정의 원인을 찾고 상대방도 완벽한 사람이 아님을 알고 이해해주기였다.
- 공황장애
- 우울증
- 사회 공포증 다큐멘터리 (A social anxiety Documentary)
- 사회공포증
- 두려운 사회적 상황 노출은 거의 매번 불안을 유발한다.
- 공포스러운 사회적 상황을 회피하려하고 피하지 못하면 불안과 고통을 경험한다.
- 18세 이하인 경우 기간이 6개월 이상
- 자존감 키우기, 자신감 찾기, 긍정적 생각하기
- 우울할땐 뇌과학 https://www.yes24.com/Product/Goods/58787793
서울아산병원
앞선 의술 더 큰 사랑을 실천하는 서울아산병원 입니다
www.amc.seoul.kr
우울할 땐 뇌 과학 - 예스24
“가장 과학적인 우울증 책”최신 뇌 과학과 신경생물학은 우울증을 어떻게 해결하는가일단 발병하면 최후 증상이 자살로 끝날 가능성이 높아 위험하고 파괴적인 정신 질환, 우울증. 우리는 우
www.yes24.com
<내 생각>
사람들은 누구나 사회에 불안과 공포를 가지고 살아간다. 그러나 그 예민함과 정도가 다른 사람은 이해 하지 못할 정도로 깊은 사람도 존재할 것이다. 류시화 시인 책에서 보길 "고통받는 사람에게 그 고통이 생각이 지어낸 허상임을 알아차리기만 하면 기쁨으로 가득하게 될 것이라고 함부로 충고해서는 안 된다. 밧줄이 어떻게 무서운 혀를 날름거리냐는 말이 옳다. 물론 생각은 때로 맹독 가진 뱀과 같아서 삶을 피폐하게 만든다. 하지만 마음의 병으로 입안이 헐 정도로 고통받는 사람에게는 지금 고통받고 있음은 단순히 생각의 문제가 아니라 실존의 문제이다." 이라고 한다.
하지만 그 불행, 불안, 공포가 자기 자신을 모두 차지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 류시화 시인 책에서 또 말하길 "불행의 양은 누구에게나 비슷하다. 다만 그것을 어디에 담는가에 따라 불행의 크기가 달라진다. 유리잔이 되지 말고 호수가 되라.” 인생의 문제는 소금과 같다는 것이다. 소금의 양은 같지만, 우리가 얼마만 한 마음의 넓이로 그것을 받아들이는가에 따라 짠맛의 정도가 달라진다. " 이라고 한다.
조금씩 자신의 삶을 살아내자. 그렇게 한 걸음씩 살다보면 나아가지 않을까 한다.
'수집 > 에세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가 생각한 인생이 아니야 [류시화] 정리 (0) | 2024.02.09 |
---|---|
행복도 휴식이 필요해요 <제프 포스터>정리 (2) | 2024.02.05 |
일상 생활 자의 작가 되는 법 정리 (0) | 2024.01.22 |
오래된 질문 다큐멘터리 정리 (0) | 2023.05.27 |
타이로페즈 동기부여 (0) | 2021.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