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대 핵심 신체 리듬

2024. 12. 1. 11:22정리/마음공부

728x90
반응형

https://www.yes24.com/Product/Goods/86152821

 

생체리듬의 과학 - 예스24

KBS 생로병사의 비밀 방영생체시계로 노벨상을 수상한 마이클 로스배시 강력 추천!생체시계가 당신의 유전자와 인생을 결정한다!최강의 몸을 만드는 빛, 음식, 운동의 황금률현대인은 모두 교대

www.yes24.com

 

다양한 신체기관에 있는 시계들은 마치 오케스트라처럼 협업하여, 건강의 본바탕을 이루는 3대 주요 리듬을 만든다. 바로 수면, 영양섭취, 활동이 그 주인공들이다. 더 나아가 이들 리듬은 전적으로 상호 연관되어 있으며, 우리의 통제 아래 놓여 있기도 하다. 이 세 리듬이 모두 완벽하게 작동할 때 우리는 이상적인 건강 상태에 있게 된다. - [생체리듬의 과학[사친판다]]

제 1리듬 _ 수면

  • 아침형 인간과 저녁형 인간의 신화 - [생체리듬의 과학[사친판다]]
  • 저녁형 인간인지 아침형 인간인지는 나이에 따라 달라진다. 인간은 아기였을 때에는 최소 9시간, 그 이후로는 7시간 수면 패턴을 유지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다. 하지만 전반적인 생체시계 시스템은 나이가 들면서 약해지고 효과가 떨어진다. 나이 듦에 따라, 강화된 수면 또는 각성에 대한 내적 욕구가 서서히 와해된다. 더 좋은 습관을 들여 생체시계를 양성하는 것이 결정적으로중요해지는 시기가 바로 이때다. 많은 이들이 자신의 수면 주기에 일어난 변화가 유전적인 요인 때문이라고 생각하지만, 유전적 돌연변이가 일어날 가능성은 희박하다.  - [생체리듬의 과학[사친판다]]
  • 자신이 아침형 인간인지 저녁형 인간인지는 나쁜 습관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 [생체리듬의 과학[사친판다]]
  • 변화의 원인은 잠자기가 불편했기 때문이 아니라 저녁에 밝은 빛이 없었기 때문이다. 또한 다른 나쁜 습관들, 가령 야근하거나 밤늦게 카페인을 섭취하는 등의 습관과 단절되었기 때문이다. 밤에 밝은 빛을 접할 수 없었던 이들은 훨씬 더 정상적인 생체리듬으로 다시 돌아갈 수 있었다. - [생체리듬의 과학[사친판다]]
  • 내가 자기 건강의 주인은 바로 자기 자신이라고 강하게 확신하게 된 이유 중 하나가 무엇보다도 바로 이 실험 때문이었다. 습관적인 행동을 교정하는 것이 여러분의 생체주기 코드를 향상하는 열쇠다. - [생체리듬의 과학[사친판다]]

제 2리듬 _ 언제 먹느냐가 여러분의 생체시계를 결정한다.

  • 24시간 생체주기 시스템의 목표는 에너지 섭취와 생존을 최적화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평소와 다른 시간에 음식을 섭취했을 때 이 시스템에는 어떤 일이 일어날까? - [생체리듬의 과학[사친판다]]
  • 아침에 접하는 첫 햇빛이 우리 뇌 시계를 재 설정하듯, 아침밥 첫 한 입이 우리 기관의 생체시계들을 재설정한다. 실제로 음식 섭취 타이밍은 우리 몸의 기준 생체시계인 SCN 에서 보내는 주신호보다 우선시 되는 강력한 신호가 될 수 있다. - [생체리듬의 과학[사친판다]]
  • 우리 몸의 세포는 체지방을 생성하고 분해하는 일을 동시에 할수 없기 때문이다. 우리가 음식을 먹을 때마다 지방 생성 프로그램이 가동되어, 간과 근육에 있은 세포들이 자방을 일부 생성해서 저장한다. 지방 연소 프로그램은 기관에서 더 이상 음식이 들어오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된 이후에야 천천히 가동된다. - [생체리듬의 과학[사친판다]]
  • 예전에 왜 다이어트를 해도 효과가 없는지 의아했다면, 타이밍이 그 이유가 될 수 있다. 아무리 성실하게 운동하고, 열량을 계산하고, 지방과 탄수화물, 단 음식을 피하고, 단백질을 많이 섭취했더라도 여러분의 생체시계를 제대로 따르지 않아서 그럴 가능성이 무척 크다. 만약 밤에 늦게 먹거나 아침마다 아주 다른 시간에 아침식사를 시작한다면, 여러분은 계속해서 자신의 몸을 생체시계와 어긋나게 만들고 있는 셈이다.  - [생체리듬의 과학[사친판다]]

제 3리듬 _ 신체활동이 타이밍에 미치는 영향

  • 우리는 활동하는 동안 근육의 대부분을 사용하게 되어 있다.우리 몸에 있는 근육을 다 합하면 전체 체중의 50% 가까이 된다. 많은 근육군이 자율신경계에 의해 조절되어 우리가 의식하지 못하는 가운데 가동된다. 우리의 장 근육은 자동으로 이완과 수축을 반복하여 장 운동성 (gut motility)이 일어난다. 이를 통해 소화된 음식은 위에서 장으로 이동하게 된다. 장 운동성은 낮에 증가하며 밤에는 매우 느려진다. 밤에는 장 운동성이 활발하지 않은 탓에, 우리가 늦은 시간에 음식을 섭취하면, 음식이 소화관을 따라 천천히 이동하기 때문에 소화불량을 유발 할 수 있다.  - [생체리듬의 과학[사친판다]]
  • 무엇이 신체 활동에 해당할까? 결과적으로 에너지를 소모하는 모든 형태의 운동은 전부 일상생활 중에하는 신체활동으로 여겨진다. 체력은신체활동을 수행하는 능력을 말한다. 스포츠 활동은 경쟁적이고 사고력과 기획력을 요구하는 신체할동의 한 형태다. 일반적인 운동은 조직적이고 잘 짜인 또 다른 형태의 신체활동으로, 운동 빈도와 지속시간, 강도에 따라 규정된다. 정원 가꾸기, 무거운 물건 옮기기, 가벼운 산책, 집안일 등도 신체활동에 포함된다.  - [생체리듬의 과학[사친판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