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적의 뇌 건강을 위한 생체 주기 코드 [ 생체리듬의 과학 ]

2024. 12. 4. 20:13정리/마음공부

728x90
반응형

[P347] 빛의 역활

  • 빛 부족은 우울증과 연관이 있는데, 간신히 6시간밖에 햇빛이 비치지 않아 낮의 길이가 짧은 겨울이 주범이다. 오늘날 이것은 계절성 정서장애(SAD)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SAD 는 우울증의 한 형태로 피로, 절망감, 사회적 위축 같은 증상을 동반한다.
  • 빛이 비치는 일정이 변하면서 마음을 차분하게 해주는 것으로 알려진 신경 화확물질인 GABA 생성에 영향을 미친 것이다. 또한  GABA가 과다하거나 부족하면, 마음을 차분하게 하거나 불안하게 하는 흥분조절 능력뿐만 아니라 우리의 일상적인 수면-기상 주기 구성에도 막대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확실한 것은 아직 모른다. 하지만 우리가 아는 사실은 뇌 기능장애와 관련된 질병이나 질환이 현재 증가추세에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우리가 취침시간을 정해서 잘 지키고, 밤에 노출되는 빛의 양에 주의하고, 낮에 햇빛을 더 많이 본다면, 이러한 증가추세를 역전시킬 수도 있다.
  • 실내조명은 우리의 생체주기 코드에 극심한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낮과 밤을 흉내 내어 빛을 밝고 어둡게 조절하는 새로운 조명을 설치하고 밤중에 잠을 잘 잘 수 있도록 소음을 줄이면 생체리듬이 회복될 것이다.
  • 게다가 많은 모니터와 컴퓨터 스크린에서는 소음과 불빛이 새어 나온다. 그 결과, 발달이 이루어지고 있는 아이의 뇌에는 낮이나 밤에 대한 감각이 없다. 

[P351] 수면 문제

  • 모든 신경 질환의 공통 주제는 수면 교란이다. 낮 동안 우리는 주로 인지능력과 감정을 동원하여 일련의 의사결정을 내린다. 수면 문제를 챙기는 것이 이와 같은 뇌 건강상의 문제를 치료하는 주요 방법이다.
  • 밤에 빛에 너무 많이 노출되면 수면이 줄어든다. 그런데 수면시간은 손상된 세포 단백질 정화작업의 대부분이 일어나는 시간이다. 따라서 잠을 많이 자면 자연히 뇌에서는 노폐물을 청소하고 복구할 시간이 더 많아진다. 따라서 낮 동안 아무리 좋은 생활습관을 가졌건, 밤에 숙면을 취하는 것이 뇌에 쌓인 모든 노폐물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이렇게 하면 치매를 예방할 수 있다고 추정된다. 뇌가 과도한 스트레스를 받고 수면이 부족하면 제대로 형성되지 않은 단백질을 생산한다. 이렇게 오류가 있는 단백질들이 쌓이면 뇌세포를 죽을 수 있는데, 이것이 바로 치매의 전형적인 특징이다.

[P352] 나이들면 뇌는 잠을 얼마나 잤는지 일어버린다?

  • 수면은 기억이 강화되고 저장되는 시간이다. 7시간 수면을 취하는 날이 많아질수록 나이 들면서 기억력이 저하되는 것을 막을수 있다. 그런데 우리는 나이가 들면서 점점 잠을 더 많이 자는 것이 아니라 적게 잘 가능성이 크다. 고령자들이 내게 들려준 이야기에 따르면, 이들은 5시간만 자도 잠이 완전히 깨고 개운해서 굳이 다시 잠들 생각을 하지 않는다고 한다. 또 수면의 질은 나이가 들면서 떨어진다.
  • 나이 많은 뇌는 작은 방해만 받아도 잠에서 깰 뿐만 아니라 자신에게 얼마나 많은 수면이 필요한지도 잊어버린다는 것이다.
  • 자, 핵심은 이렇다: 우리는 나이가 들면서 스스로 잠잘 기회를 적게 줌으로써 자기 자신과 뇌에 몹쓸짓을 한다. 따라서 매일 밤 8시간의 수면시간을 보장하도록 하라.

 

[내 생각]

미안하다 몸아 내가 무지해서 너를 고생시켰구나 앞으로 8시간의 수면시간을 보장하게 해줄게.

어머니가 6시간만 주무시는게 습관이 되셔서 걱정이다. 부디 최소한 7시간 이상 주무셨으면 좋겠다.

 

https://www.yes24.com/Product/Goods/86152821

 

생체리듬의 과학 - 예스24

KBS 생로병사의 비밀 방영생체시계로 노벨상을 수상한 마이클 로스배시 강력 추천!생체시계가 당신의 유전자와 인생을 결정한다!최강의 몸을 만드는 빛, 음식, 운동의 황금률현대인은 모두 교대

www.yes24.com

 

728x90
반응형

'정리 > 마음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참된 명상  (0) 2025.01.01
연금술사 정리  (0) 2024.12.23
3대 핵심 신체 리듬  (3) 2024.12.01
마음을 바꾸는 세가지 확실한 방법  (29) 2024.11.29
시간제한 식사법에 성공하기 위한 7대 규칙  (3) 2024.11.27